2025.02.25 (화)

스타트업

무하유 '프리즘', AI 자기소개서 탐지율 48.5% 기록



실용 AI 기술 기업 무하유가 자사 AI 서류평가 솔루션 ‘프리즘’의 ‘GPT킬러’ 기능을 활용해 분석한 자기소개서 데이터를 25일 공개했다.


프리즘은 생성형 AI로 작성된 자소서를 평균 4초 만에 탐지하고, 답변 적합도, 내용의 구체성, 문법 적합도 등을 평가한다. GPT킬러는 챗GPT, 클로드 등 다양한 생성형 AI를 탐지하는 솔루션으로, 기업 인사담당자는 프리즘 이용 시 선택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2024년 프리즘으로 분석된 89만 건의 자소서 중 48.5%가 생성형 AI 사용 의심 사례로 나타났다. 하반기 자소서 제출 건수는 상반기 대비 3배 이상 증가했으며, 금융권 지원자의 AI 활용 비율이 가장 높았다. 직무별로는 IT/개발 직군 지원자의 AI 사용 비중이 27.3%로 가장 높았다.


프리즘 도입 고객사의 68% 이상이 GPT킬러 기능을 활용하고 있으며, 공공기관, 금융권, 대기업 등에서 활발히 사용 중이다. 고용노동부 조사 결과, 기업 인사담당자의 64.1%가 AI 자소서에 대해 부정적이며, 65.4%는 불이익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하유 신동호 대표는 “AI 자소서는 지원자의 역량을 파악하기 어렵다”며, “프리즘은 국내 유일의 AI 자소서 탐지 기능을 제공한다”라고 밝혔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