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파크랩이 주관하고 한국콘텐츠진흥원이 주최하는 ‘2021 뉴 콘텐츠랩(New Contents Labs)’ 데모데이가 오는 9일 온라인 생중계로 개최된다. 스파크랩은 한국콘텐츠진흥원과 콘텐츠 분야 액셀러레이터 지원을 통해 우수한 초기 및 벤처기업의 역량을 강화하는 ‘콘텐츠 액셀러레이팅 지원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올해 진행된 ‘2021 뉴 콘텐츠랩’에는 라이프스타일 분야를 혁신할 콘텐츠 스타트업 10곳이 선정됐다. 스파크랩은 지난 6개월 동안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을 통해 1:1 사업화 멘토링부터,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멘토링, 단계별 맞춤 교육 세미나, 피칭 프로그램 및 그 외 스파크랩 네트워크 지원 등 스타트업의 빠른 성장을 지원해왔다. 이번 데모데이는 투자자 및 관계자에게 10개 기업의 사업을 소개하고자 마련된 자리로, MZ문화, 위드 코로나, 퓨처 컬쳐 등 세 가지 키워드로 나눠 진행된다. 스파크랩의 액셀러레이팅을 거친, 엑스크루, 피큐레잇, 인플루디오, 본투비, 페이워크, 패신저스, 크래프타, 인테리어티쳐, 나이비, 빔스튜디오 등 10개 스타트업이 각 사업을 발표할 예정이다. 최종 상위 3팀은 사업화 자금 지원으로, 1등 4천만 원, 2등 3천만 원,
사진 : 스파크랩 김호민 대표 키노트 스파크랩이 28일 진행된 ‘제17기 온라인 데모데이’가 성황리에 마무리됐다고 밝혔다. 스파크랩 데모데이는 스파크랩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의 마지막 과정으로, 4개월간 육성 프로그램을 거친 기업들이 투자자 및 업계 관계자 앞에서 그 성과를 공개하고 투자를 유치하는 행사다. 스파크랩 데모데이는 이번 기수까지 총 17번 열렸으며, 누적 등록자 수는 2만 3천여 명에 달한다. 스파크랩은 2012년 12월 설립 이후 약 9년간 170여 개의 포트폴리오에 투자했다. 전체 포트폴리오의 후속 투자유치율은 78.5%, 스파크랩 운용자산(AUM) 규모만 해도 약 800억 원이다. 누적 투자 유치 금액은 약 8천억 원 규모로 전체 포트폴리오 사의 총 기업가치만 약 3조 원 이상(2020년 12월 31일 기준)이다. 이날 행사에서는, 빌리오, 브로츠, 페이먼스(파이노버스랩), 실크원(노다랩), 라이다(플레이터블), 틴고랜드, 쿼드메디슨 등 다양한 분야의 총 7개 스타트업의 사업 발표 및 각 분야 전문가들의 강연이 진행됐다. 코로나 19 확산 방지를 위해 온라인으로 진행된 이번 행사에서는 각 발표 기업의 가상 부스를 마련해 스타트업의 정보를 얻고
스파크랩이 오는 28일 ‘제17기 데모데이’를 개최한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데모데이는 온라인으로 진행된다. 스파크랩의 데모데이는 전 세계에서 가장 큰 규모의 데모데이로, 혁신을 이끌어 나가는 스타트업들과 최신 테크놀로지 동향은 물론, 기술, 미디어, 통신 등 다양한 분야 리더들이 나누는 업계 주요 이슈에 관한 토론까지 모두 만나 볼 수 있는 행사다. 혁신과 변화에 대한 열정을 공유하는 창업가, 투자자, 기업 관계자, 정부 기관, 미디어 관계자들을 한자리에서 만날 수 있는 특별한 행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데모데이는 뮤직 테크·핀테크·이커머스·헬스케어 등 다양한 분야의 우수 스타트업, 빌리오, 브로츠, 페이먼스(파이노버스랩), 실크원(노다랩, 라이다(플레이터블), 쿼드메디슨, 틴고랜드 등 7곳 피칭 IR 발표 및 전문가들의 강연으로 구성된다. 특히, 이번 데모데이에는 세계 1위 메시징 API 기업인 센드버드의 공동 창업자이자 CEO인 김동신 대표, 래디쉬의 설립자이자 포브스로부터 '아시아 30세 이하 리더' 중 한 명으로 선정된 바 있는 이승윤 대표, 스파크랩 1기 기업이자 K-뷰티를 전 세계에 알리고 있는 미미박스의 하형석 대표가 연사로 참여하여 '실리
스타트업 내비게이터 ㈜김기사랩이 9월 16일에 비대면 온라인으로 ‘김기사랩 3기 데모데이’를 개최한다고 10일 밝혔다. 2019년 설립된 김기사랩은 매년 창업 3년 차 이하의 초기 스타트업을 발굴해 투자와 전문 멘토링을 지원하는 배치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며, TIPS프로그램 운영사 및 기보 엔젤 파트너스로서 스타트업을 다방면으로 지원하고 있다. 이번 김기사랩 3기 배치 프로그램에는 총 450팀이 지원하였고, 그중 단 7팀만이 최종 선발되어, 64:1의 경쟁률을 기록한 바 있다. 최종 선발된 팀은 김기사랩 3명의 파트너들이 직접 3개월간의 밀착 멘토링을 진행하였다. 또한 성공한 경험의 선배 창업자나 VC, 변호사 등 다방면의 국내외 전문가 특강을 격주로 진행하여 창업 초기에 어려움들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제공하였다. 이달 16일 오후 2시 30분부터 온라인으로 진행되는 김기사랩 데모데이에서는 3기 배치 프로그램에 선정된 다양한 분야의 7개 팀이 참여해 그동안의 성장 과정과 현재 모습을 소개할 예정이다. 특히, 이번 데모데이는 코로나라는 특수 상황에서 비대면으로 진행하게 된 만큼, 투자자와 업계 관계자를 비롯해 창업에 관심 있는 일반인들도 온라인으로 참여할 수
사진 : 농심 테크업플러스 시즌3 데모데이에서 발표를 하고 있는 크리에이터스랩 류정하 대표 액셀러레이터 퓨처플레이와 농심이 28일 서울시 삼성동 코엑스 콘퍼런스룸에서 ‘농심 테크업플러스 시즌3 데모데이’를 개최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농심 테크업플러스 시즌3’에서 선발된 푸드테크 스타트업들이 약 6개월간의 액셀러레이팅 기간 동안 개발한 기술 및 사업모델을 발표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번 행사는 현장 IR과 유튜브 생중계를 통한 온 오프라인 하이브리드 방식으로 중계됐다. 앞서 퓨처플레이와 농심은 ‘농심 테크업플러스 시즌3’를 통해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식음료 산업을 혁신할 푸드테크 스타트업 4개 사를 발굴, 사업 자금과 멘토링, 그리고 업무 공간 등을 지원하는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을 운영했다. 이날 행사는 KDB산업은행과 무역협회가 함께하는 ‘넥스트라이즈 2021’(NextRise 2021, Seoul) 현장에서 진행됐다. 총 120여 개의 대·중견기업과 30여 개의 벤처캐피탈이 참여한 대규모 행사인 만큼, ‘농심 테크업플러스 시즌3’에 선발된 스타트업들이 후속 투자 유치와 사업 협력의 기회를 선보이는 자리가 됐다. 행사에 참여한 ‘농심 테크업플러스
스타트업과 전문투자자 네트워킹 플랫폼 넥스트유니콘의 온라인 데모데이 솔루션 ‘유니콘LIVE’가 론칭 9개월 만에 온라인 데모데이 누적 시청자 수가 3만 명을 돌파했다고 10일 밝혔다. 지난해 7월 한국무역협회 스타트업브랜치와 진행한 온라인 IR행사를 시작으로 올해 5월까지 총 42회에 걸쳐 행사를 진행했고, 행사에 참여한 스타트업만 약 400개사, 약 900여 명의 전문투자자가 참여했다. 넥스트유니콘의 ‘유니콘LIVE’는 스타트업과 투자자를 위한 모든 온라인 행사를 지원하는 솔루션으로 데모데이부터 IR피칭대회, 각종 스타트업 행사와 교육 행사까지 지원하고 있다. 지난해 3월부터 예기치 못한 코로나 팬데믹 사태로 인해 기존 오프라인 행사로만 진행되던 스타트업 생태계에 비대면 서비스에 대한 필요성이 커지면서 솔루션 수요가 높아졌다. 특히 유니콘LIVE는 온라인 중계 솔루션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실시간 투표, 질문 답변을 통해 행사의 참여율을 높이고 전문투자자에게는 기업정보 확인 및 IR자료 요청 서비스를 제공하며 스타트업과 투자자에게 특화된 서비스로 자리 잡고 있다. 현재까지 ‘유니콘LIVE’를 이용한 투자사 및 기관에는 창업진흥원, 한국무역협회, 한국콘텐츠진흥
credit : 서울글로벌창업센터 서울글로벌창업센터는 지난 13일 온라인으로 진행한 ‘2021 SGSC 데모데이’ 행사를 전문투자자 및 스타트업 관계자 1,758명이 참여한 가운데 성공리에 마쳤다고 18일 밝혔다. ‘2021 SGSC 데모데이’는 서울글로벌창업센터가 국내 거주 외국인 유망 스타트업들을 육성 및 지원하는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의 최종 과정으로, ‘서울글로벌창업센터 5기’ 입주기업 중 10개 기업이 참여해 IR 발표를 실시했다. 전문투자자 심사위원 총 21명의 점수를 종합해 가장 높은 점수를 얻은 환경을 생각하는 F&B 플랫폼 ‘다모고’가 최종 우승 기업으로 선정됐으며, 7백만 원 상금과 함께 후속 투자 라운드 연계 기회가 주어진다. 2등은 생활소비재 혁신 기업 ‘크리스피’, 3등은 IP 법률 테크 기업 ‘위크레스트’가 선정됐으며, 위크레스트는 인기상까지 수상하며 2관왕에 올랐다. 2등에게는 상금 4백만 원, 3등에게는 상금 2백만 원, 인기상에는 1백만 원을 수여하게 된다. 이번 행사는 코로나 19 상황을 고려해 스타트업, 전문투자자 네트워크 플랫폼 넥스트유니콘의 온라인 데모데이 서비스인 ‘유니콘 LIVE’를 통해 진행됐다. 1부, 2부를
사진 : 제1회 디스커버리 데모데이에서 축사를 하고 있는 하프스 장재용 대표 넥스트유니콘이 첫 번째 자체 행사인 ‘디스커버리’ 온라인 데모데이를 지난 27일 총 703명이 시청한 가운데 성황리 개최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지난 15일 사회적 거리두기 방침에 지켜 최소한의 인원만 참석한 프라이빗 오프라인 형태로 진행 후, 본 행사의 녹화 영상을 활용해 넥스트유니콘이 제공하는 온라인 데모데이 기능 ‘유니콘 LIVE’를 통해 온라인으로 중계하는 크로스 이벤트 형태로 진행되었다. 온라인 데모데이의 경우, 스타트업 관계자 및 전문투자자를 포함한 총 703명이 본 행사를 시청했고, 투표수는 총 2,238표에 달하며 행사를 진행하는 내내 뜨거운 반응이 이어졌다. ‘디스커버리’ 데모데이는 기관 투자 이력이 없는 초기 스타트업의 성장과 투자유치를 지원하기 위해 전문투자자와 네트워크 확대 및 협력의 장을 마련하고자 기획했다. ‘1,000명의 투자자, 5개의 스타트업, 1번의 기회’라는 슬로건을 내세우며 온·오프라인 데모데이를 통해 1,500여 명 이상의 전문투자자를 대상으로 회사를 소개할 수 있는 정기적인 행사를 진행할 계획이다. 이번 제1회 ‘디스커버리’ 데모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