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라엘 아스돗(Ashdod)에 기반을 둔 알레프 팜(Aleph Farms)은 슈트라우스 그룹(Straut Group Ltd)의 일원이며 이스라엘 푸드테크 인큐베이터인 더 키친(The Kitchen)과 테크니온(Technion)이 2017년에 공동으로 설립한 푸드테크 스타트업이다.
알레프 팜(Aleph Farms)의 소의 세포를 배양시켜 만들어진 스테이크용 인공 소고기는, 스테이크와 같은 복잡한 모양, 질감, 맛을 복제함으로써 고기의 미래를 가리키고 있다.
Aleph Farms의 신제품은 소에서 분리된 다양한 종류의 천연 쇠고기 세포를 기존의 고기와 유사한 완전한 3D 구조로 성장시키는 능력을 보여주고, 쇠고기 근육 조직 스테이크의 진정한 질감과 구조뿐만 아니라 맛과 모양까지 같아서 세포 배양 육류 기술의 새로운 경지를 보인다.
Aleph Farms는 가축을 육식으로 키우기 위해 필요한 토지, 물, 사료 및 기타 자원의 방대한 노력을 기울이지 않고 도축이 필요 없는 스테이크를 성공적으로 키웠으며 항생제도 사용하지 않았다.
세포에서 자란 고기는 일반적으로 고통 없이 추출된 살아있는 동물의 몇 개의 세포에서 자란다. 이 세포들은 영양분을 공급받고 근육 조직을 복제하는 복잡한 행렬로 만들어진다.
실험실에서 육성된 고기 생산에 대한 장벽 중 하나는 다양한 세포 유형을 서로 상호 작용시켜 동물 내부의 자연환경에서 처럼 완전한 조직 구조를 구축하는 것으로, 중요 도전 과제는 다세포 매트릭스가 효율적으로 함께 성장하여 완전한 구조를 만들 수 있는 적절한 영양소와 그 조합을 찾는 것이었다. 그러나 Aleph Farms은 Technion(이스라엘 기술 연구소 Haifa)과 협력하여 개발한 생명 공학 플랫폼 덕분에 이러한 장애물을 극복하였다.
Aleph Farms의 공동 창립자이자 CEO인 디디에 투비아(Didier Toubia)는 "우리는 고기 산업의 미래를 개척하고 있다"며 "동물 바깥에서 배양 한 세포에서 패티나 소시지를 만드는 것도 어려운데. 전체 근육 스테이크를 만드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지 상상해보라"고 말했다.
또한 그는 "이것은 공상 과학 소설이 아니다. 우리는 통제된 조건에서 스테이크를 재배함으로써 비전을 현실로 변화시켰다"라고 덧붙였다.
Aleph Farms는 육류의 생산 비용을 낮출 수 있는 6가지 독특한 기술을 조합하여 구현하고 있다. 여기에는 세포에 영양을 공급하기 위한 동물 없는 성장 매체에 관련된 혁신적인 접근법과 조직이 자라는 탱크인 생물 요소가 포함된다.
알레프 농장의 미세한 스테이크는 얇게 썰어 1분 정도만 있으면 요리할 수 있다."라고 이스라엘 라맛 간의 레스토랑 파리 텍사스의 아미르 일란( 주방장(Amir Ilan, chef of the restaurant Paris Texas in Ramat Gan, Israel)은 전하며. "나에게는 쇠고기의 생김새와 느낌이 있지만 항생제 없이 자라 동물이나 환경에 해를 주지 않는 고기를 먹는 것이 좋은 경험이며, Aleph Farms의 고기는 높은 요리 잠재력을 가지고 있어 최고급 레스토랑, 최신식 카페, 작은식당(bistros) 또는 다른 음식점등에서 쉽게 제공 될 수 있다."라고 말했다.
미국과 유럽의 벤처 캐피털 회사들의 지원을 받고 있는 Aleph Farms는 2018년 7월에 유럽 기술 연구소(EIT) 푸드 사의 뛰어난 신생 기업 클럽인 The RisingFoodStars에 합류했으며, 오는 5월 7일 텔아비브에서 열리는 FoodTech TLV에서 전시될 예정이다.
About Team
디디에 투비아(Didier Toubia) : CEO
네타 라본(Neta Lavon) : VP R&D
슐라미트 레벤버그(Prof. Shulamit Levenberg) : CSO
image credits : Aleph Farms
Aleph Farms : https://www.aleph-farms.com/
Copyright @2016-2022 www.kstartupvalley.com All Rights Reserved.
사진 : Re-Scaleup IR Day에 참가한 주식회사 에스지메디로보 권형준 대표 강원창조경제혁신센터는 지난 9일, ‘2022 강원창업주간’ 행사의 일환으로 ‘2022년 재도전 성공 패키지 Re-Scaleup IR Day’ 행사를 열었다고 10일 밝혔다. Re-Scaleup 프로그램에 참여한 재창업기업 선정자 1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이번 행사는 재창업기업의 피칭과 투자 심사역들의 피드백으로 구성하였으며, 재창업자들이 유익한 정보들을 얻어갈 수 있도록 피칭이 종료된 후 재창업자와 심사역 간 네트워킹 시간도 마련하였다. 이 날, IR 피칭 심사 심사를 통한 상위 5개 재창업기업에게는 피칭 심층 분석과 투자유치 방향을 수립을 위한 심사역과의 1:1 매칭이 이루어질 예정이다. 이기대 센터장은 “재창업기업들이 성공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 방향을 모색할 것이며, 이번 행사를 통해 재창업기업의 아이템이 투자유치로 이어질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좋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강원창조경제혁신센터는 재도전 성공 패키지를 통해 성실한 실패 경험과 유망한 창업 아이템을 보유한 청년·중장년 재창업자의 성공적인 재창업을 위해 예비 재창업기업부터 재창업 7년 미만의 재창업기업의
사진 : 신한퓨처스랩 일본 출범식 행사에서 일본 진출 계획을 발표하고 있는 홈즈컴퍼니 이태현 대표 ㈜홈즈컴퍼니는 10월 31일부터 총 5일간 도쿄에서 열린 신한퓨처스랩 일본 캠프에 참석하고, 11월 4일 캠프 마지막 날 오후 개최된 ‘신한퓨처스랩 일본 출범식’에서 홈즈컴퍼니의 혁신적인 프롭 테크 포트폴리오와 일본 진출 계획을 발표했다. 이번 캠프는 신한퓨처스랩 일본 오픈과 함께 한국 스타트업의 일본 진출을 지원하고 한·일 스타트업, 투자자, 공공기관의 오픈 이노베이션을 강화하기 위해 진행된 프로그램이다. 한국과 일본 스타트업 생태계 관계자가 캠프에 참석한 가운데 웰컴 행사, 교류행사 및 오픈 이노베이션 포럼, 공식 출범식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도쿄 팔레스 호텔 등에서 진행됐다. 캠프 기간 동안 한국의 유망·혁신 기업으로 소개된 스타트업들은 홈즈컴퍼니, AI 에듀테크 서비스 기업 매스프레소를 포함해 총 10곳으로, 신한퓨처스랩 일본으로부터 일본 진출을 지원받는 첫 번째 스타트업이라는 점에서 상징적 의미가 있다. 11월 4일 스타트업 발표 자리에 선 이태현 홈즈컴퍼니 대표는 “일본에 사는 외국인은 2019년까지 연간 평균 7.5%씩 증가하고 2020년 말 288
credit : 클로버추얼패션 디지털 의상 솔루션 기업 클로버추얼패션이 프랑스 파리에 신규 오피스를 설립했다고 10일 발표했다. 이는 독일 뮌헨, 스페인 마드리드를 잇는 세 번째 유럽 오피스이자 열두 번째 글로벌 오피스로, 고객들에게 보다 원활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유럽 및 글로벌 시장 확장에 박차를 가하기 위함이라고 회사는 밝혔다. 클로버추얼패션은 3D 의상 시뮬레이션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의상 디자인 소프트웨어부터 클라우드 기반 협업 시스템, 디지털 자산관리, 커뮤니티, 마켓플레이스까지 의상 디자인 플랫폼을 개발해 의상에 관한 모든 분야를 디지털로 통합하는 데 앞장서는 글로벌 디지털 의상 솔루션 기업이다. 휴고보스, 망고, 아디다스, 웨타 디지털, 유비소프트 등 수많은 글로벌 패션 브랜드와 영화 및 게임 제작사가 클로버추얼패션 솔루션을 사용하고 있으며, 업계 내 독보적인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다. 현재 유럽, 미국, 아시아, 남미 등 전 세계 10개국 이상에 12개의 오피스를 두고 있으며, 각 현지 상황에 맞는 최고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모두 자회사로 운영된다. 이번 파리 오피스를 비롯해 서울, 제주, 뉴욕, 로스앤젤레스, 상하이, 홍콩, 벵갈루
사진 : 춘천권 스타트업 통합멘토링 아워 상담 강원창조경제혁신센터는 2022 강원창업주간(Gangwon Startup Week) 행사의 일환으로 지난 9일, 11월 춘천권 스타트업 통합 멘토링 아워를 운영했다. 이번 멘토링 아워는 춘천권 창업지원기관 협의회와 공동주관하며 협의회에는 강원창조경제혁신센터, 강원대 창업보육센터, 여성기업종합지원센터 강원센터, 춘천시 1인 창조기업지원센터, 춘천 지혜의숲 중장년 기술창업센터, 한림대 창업보육센터 등 총 6개 기관이 참여한다. 멘토링 아워 행사는 춘천권 창업기업이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와 기업지원기관을 한 장소에서 만나 기업 경영 시 발생하는 애로사항을 자문으로 해결하는 원스톱 통합 멘토링 프로그램으로, 마케팅, 수출입, 디자인, 생산관리 등 17개 분야로 구성되며, 강원혁신센터 특화분야인 빅데이터·AI, 투자, 로컬 벤쳐의 경우 혁신센터 내 전문 인력들이 기업들의 애로사항 해결을 위해 직접 멘토링을 운영한다. 또한, 이번 통합 멘토링 아워 행사 오프닝 세션은 강원혁신센터 이기대 센터장의 ‘사람 문제로 고민하는 스타트업의 인적자원관리와 조직운영’과 가톨릭관동대학교 황정희 교수의 ‘중소기업 근로자와 함께하는 성장하는 성과
사진: 트랙팜 농가 관리용 대시보드 AI 스마트팜 스타트업 트랙팜이 AI 모션 분석 및 태그장치 기반의 양돈농가 관리 솔루션(이하 솔루션) 개발을 완료하고 출시했다고 9일 밝혔다. 이번에 트랙팜이 개발한 솔루션은 크게 양돈 개체 관리 AI 분석 모델과 농가 관리용 대시보드로 구성됐다. 트랙팜의 양돈 개체 관리 모델은 자체적인 헬스 스코어링 알고리즘 모델을 통해 행동 패턴과 활동성을 분석해 돼지 개체의 건강 상태를 가시적으로 할 수 있다. 그동안 관리자의 노동력으로 수행하던 업무를 카메라로 대체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아울러 트랙팜의 농가 관리용 대시보드는 측정한 건강 데이터를 바탕으로 실시간 돈방 현황 확인과 헬스 데이터 분석, 개체 관리 등을 제공한다. 돼지의 헬스 컨디션을 수치로 대시보드에 보여줘 농장 관리자의 업무 효율성과 노동력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트랙팜은 10월 특허 출원을 통해 기술보호에 노력하고 있으며 올해 10개 양돈농가 추가 보급과 내년에 대형 양돈농가에 제품 보급을 목표로 삼고 있다. 한편 트랙팜은 올해 글로벌창업사관학교 3기에 선정됐으며, 세종대 캠퍼스타운 선정, 한국농업기술진흥원 KOAT의 농식품 벤처 육성 지원사업에 선정돼
강원창조경제혁신센터는 지난 8일, ‘2022 강원창업주간’ 행사의 일환으로 ‘2022년 G-스타트업 청년창업 지원사업 창업기업 모의 IR’ 행사를 열었다. 이번 행사는 창업기업의 투자유치 역량 강화를 위해 투자 심사역 등 전문가와 함께 IR 피칭을 진행하였고, 강원혁신센터 보육기업 중 기술경쟁력 및 사업성을 갖춘 도 소재 기업 6팀이 참여하여 투자자 및 관계자 앞에서 IR 피칭 후 실질적인 투자로 이어질 수 있도록 보완 사항 등을 점검하는 시간으로 구성하였다. 이날 행사에서 모의 IR을 진행한 도 내 보육기업 6팀은 초기 창업 지원사업 분야에서, 농업회사법인 나무와 주식회사(목재가공장치), 주식회사 케이씨앤씨(고양이 질병 예방 사료 개발), 주식회사 파이스토리(배수펌프 예지보전 시스템) 창업도약 지원사업 분야에서, 주신글로벌테크 주식회사(플라스틱 리사이클), (주)엘케이에스글로벌(생체신호 측정 디지털헬스케어 기기), 주식회사 오늘의이야기(시청자 반응형 콘텐츠 플랫폼)이다. IR 피칭 심사에는 데일리파트너스, 한양대기술지주회사, 뉴패러다임인베스트먼트, 스타트업엑스, VNTG, 크립톤의 투자 심사역 및 TIPS 프로그램 등을 운영하고 있는 전문가 6인이 참여하여
사진 : 스파크랩 19기 데모데이 SK그룹 최태원 회장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터 스파크랩이 11월 3일 코엑스에서 진행한 설립 10주년 기념 데모데이 '스파크랩 데모데이 엑스(SparkLabs Demoday X)'가 성황리에 마무리됐다고 7일 밝혔다. 스파크랩의 데모데이는 약 4개월간 액셀러레이터 프로그램에 참여한 스타트업이 투자자와 업계 관계자 앞에서 사업 모델과 회사의 비전을 소개하고 신규 투자를 유치하기 위한 행사다. 이번 스파크랩 데모데이는 3년여 만에 오프라인으로 개최된 대규모 행사로, 스타트업 전시 부스 운영, 오프라인 네트워킹 지원 등 실시간 교류의 장을 마련해 약 1천5백여 명의 업계 관계자에게 뜨거운 호평을 받았다. 특히, 설립 10주년을 기념해 스파크랩의 향후 비전을 공개하는 자리를 마련해 눈길을 끌었다. 창업자들이 창업자를 위해 2012년 설립한 스파크랩은 H2O 호스피탈리티, 발란, 엔씽 등 혁신 기술을 가진 270여 개의 스타트업을 발굴하고 이들이 글로벌 시장에 진출할 수 있도록 지원을 펼쳐왔다. 포트폴리오사의 후속 투자 유치 금액은 1.3조 원이며, 이들의 기업 가치만 6.7조 원에 달한다. 스파크랩은 체계적인 포트폴리오 관리 및 액셀러
이커머스 AI 솔루션 기업 옴니어스가 복잡한 이커머스 AI 기능을 간편하게 도입할 수 있는 클라우드 기반 ‘옴니커머스(OMNICOMMERCE)’를 출시했다고 2일 밝혔다. 모든 이커머스를 위한 플랫폼이라는 뜻을 가진 ‘옴니커머스’는 이커머스 회사라면 필수적으로 고려해야 할 4가지 AI 기능을 모두 갖추고 있다. 기능은 상품 속성 데이터를 자동으로 추출하여 관리하는 AI 태깅, 비슷한 형태의 상품을 찾아서 추천해 주는 AI 유사 상품 추천, 모바일 카메라로 실물 상품을 온라인상에서 찾아주는 AI 카메라 서치, 품질이 떨어지거나, 기준에 부합하지 않은 상품 이미지를 걸러주는 AI 이미지 모더레이션까지 총 4가지 기능을 제공한다. 많은 이커머스 기업들이 고객의 편의성 및 매출 증대를 위해 AI 인력과 인프라를 필요로 하고 있다. 대부분 1~2년 이상의 R&D 투자를 통해 필요한 AI 기능을 도입하고 있다. 옴니커머스는 인력과 인프라 등 별도의 준비 없이 며칠 만에 AI 기능 도입을 가능하게 한다. 투자 여력이 부족한 중소형 기업들도 이커머스 AI 혜택을 누릴 수 있게 되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도입 편의성 외 성능 측면도 차별화되었다. 태깅 AI의
이스트 오라이온 사는 10,000 여 미주 한인 세탁 비즈니스를 위한 온디맨드 모바일 세탁 서비스 기업 'One Cleaner Inc'가 지난 9월 21일 설립되었다고 18일 밝혔다. 온디맨드 모바일 세탁 서비스 기업인 'One Cleaner Inc'는 이스트 오라이온 사와 미주 한인 세탁 총연합회와 협약하여 추진했던 사업으로 한인 세탁 업소들 및 한인 코인 런드로맷 운영자들의 참여 속에 탄생하였다. 한인 세탁 비즈니스를 통합하는 하나의 사업체인 One Cleaner는 침체되어 있는 미주 한인 세탁 비즈니스를 디지털 화하여 활성시키고 매출을 증대시켜 그들의 경쟁력을 높여 한인 세탁 비즈니스를 발전시키며, 한인이 가지고 있는 미국 세탁 비즈니스의 시장 지배력을 지키며 또한 한인이 운영하는 세계적인 세탁 서비스 회사로 성장시키는 미션을 가지고 있다. 미주 한인 세탁 총연합회 이동일 회장은 " 지난 50년의 세탁업과 앞으로 50년의 세탁업은 달라질 수밖에 없다. 지금은 한인 세탁업의 미래를 결정하여야 하는 중대한 시간에 와 있다"며, "개인의 사업으로 운영된 유대인과 중국인들은 50년 전 이 사업에서 이미 퇴출되었고, 기업으로서 Commercial Laundry
사진 : 완쪽으로 부터 5번째( 앉은 자리 순) 이동일 미주 한인 드라이 크리너스 총연합회 회장 미주 한인 드라이 크리너스 총연합회(미주 한인 세탁 총연합회)는 지난 5월 28일부터 30일까지 워싱턴 DC 인근 Herndon 소재 Westin Washington Dulles Airport Marriot Hotel에서 미 전국 14 개 지역 세탁협회 협회장 및 이사들 포함 약 90여 명이 참석하여 이사회를 개최하였다. 이날 열린 이사회에서는 지난 3월 협회가 이스트 오라이온 사와 협약한 '미주 10,000여 개 한인 세탁 업소들을 모아 단일 브랜드, 모바일 기반 온디맨드 세탁 서비스 사업'을 정식 승인하여 곧 미주 한인 세탁 비즈니스를 어우르는 단일 브랜드 기업의 탄생과 미주 한인 세탁업소 통합 어플의 출시를 기대하게 되었다. 이동일 미주 한인 세탁 연합회 회장은 이번 단일 브랜드 온디맨드 세탁 서비스 어플은 "한인 세탁 장인들이 만드는 명품 세탁과 지역 주민들을 위한 '바이 로컬’(Buy Local) 캠페인, 그리고 미국 전 지역을 커버하는 유일한 세탁 서비스 등의 우수한 장점을 가지고 있어, 대형 IT 세탁업체들의 등장으로 고전 중인 한인 세탁 비즈니스를
KITEE holding the 18th event of our Igniting Entrepreneurship Series on April 22nd Wednesday, 7:30 pm - 9:30 pm. This April gathering, especially, will be held as a Webinar event amid the COVID-19 pandemic, and will discuss the effective way of raising funds at an early stage of startups inviting Dr. Tae Heum Jeong, Managing Partner of KSV Global Innovations & KITEE Board member. KITEE will also present the recent and upcoming KITEE activities and prepare members for the activities to maximize the benefits to KITEE members. At the end of the online event, they will also have the opportun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