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즐길 수 있는 비즈니스를 하세요"
“2014년 창업한 스타트업 회사가 7월 현재 350억 원(200억 원 계약, 150억 원 구매 의향)의 매출을 올리고 있어요. 올 연말까지는 500억 원의 매출을 예상한다고 합니다.”
서울 성동구 성수동에 자리한 루트아이템의 최진 대표를 만났을 때, 자신이 멘토링했던 벤처기업 닷(DOT)의 성과를 소개하는 그의 목소리는 약간 흥분돼 있었습니다.
닷은 시각장애인용 점자를 표시할 수 있는 스마트 워치를 개발해 현재 전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는 ‘핫한 스타트업’인데요, 최 대표가 닷의 김주윤 대표를 만난 것은 2014년 창조경제타운이 개최한 ‘창조경제 대상 아이디어 창업 경진대회’에서였습니다.
2014년 ‘창조경제 대상 아이디어 창업 경진대회’에서 벤처기업 닷(DOT) 멤버들과 함께한 최진 대표. Ⓒ DOT
김 대표의 아이디어와 기획이 좋았지만, 닷의 스마트 워치가 성공하는 데는 최 대표의 멘토링이 결정적인 역할을 했습니다. 최 대표는 모터가 들어가는 구동 장치 대신 전자석을 이용해 점자 핀이 튀어나오는 방식을 추천했고요, 그 덕분에 일반 손목시계보다 얇고 크기도 작은 스마트 워치가 탄생했답니다. 닷의 성공을 지원한 멘토 최 대표도 사실 대학 2학년 때 생활 속 아이디어로 휴대전화 충전 자판기를 개발해 창업한 케이스랍니다.
톡톡 튀는 아이디어를 혁신적인 제품으로
“대학 때 친구랑 여행을 갔는데, 여행 중에 친구가 조부모상을 당했던 것을 연락받지 못했어요. 당시 휴대전화 배터리는 아날로그 방식이라 외부 충전이 안 돼서 문제였던 거죠. 그래서 외부에서 휴대전화를 충전할 수 있는 자판기를 생각했습니다.”
최 대표는 국내 최초로 휴대전화 충전 자판기를 개발해 RS시스템이란 회사를 창업했답니다. 이 휴대전화 충전 자판기는 당시 국내 5대 편의점에 납품됐고요, 하나의 부스에 5개 정도의 충전코드만 설치돼 있으면 120종의 휴대전화를 충전할 수 있었다고 합니다. 정보처리기사 자격을 딴 그 다음 날부터 강사로 일을 시작해서 모은 1,000만 원으로 창업했는데, 휴대전화 충전 자판기 모델당 4, 5억 원의 영업이익을 올렸다고 하니 엄청났네요.
“이렇게 어렵게 창업하고 어느 정도 성공도 거두어 본 덕분에 멘토링이 가능한 것 같습니다. 스타트업을 꿈꾸는 사람들에게 하고 싶은 얘기가 많은데요, 몸소 느꼈던 부분으로 멘토링을 하고 있습니다.”
현재 그가 루트아이템에서 하는 일도 멘토링과 무관하지 않습니다. 루트아이템은 고객의 번뜩이는 아이디어를 기술적으로 구체화해 독특한 제품으로 시장에 내놓는 ‘제품 연구개발 용역 회사’이기 때문입니다. 일상생활과 산업 현장에서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기획 단계에서부터 연구개발, 시제품 출시, 소비자 반응 분석, 양산까지 지원한다고 합니다.
“사실 2002년 전에는 연구개발업이란 업종 코드가 없었어요. 연구개발업이 국가적으로 필수적이라고 보고 구청에 연구개발업 코드를 만들어 달라고 민원을 넣었습니다.”
연구개발업 코드가 나오면서 2002년 RS시스템을 루트아이템으로 법인을 전환했답니다. 루트아이템에서는 약 20년간 계단 오르는 휠체어, 자외선 살균 모니터 받침, 풍력을 이용한 움직이는 광고간판에서부터 공공자전거, 정수기, 비데까지 800개 이상의 다양한 아이디어 제품을 개발했습니다. 최근에 개발 중인 제품 가운데는 엉덩이가 전혀 아프지 않은 튜브 방식의 자전거 안장, 세균이 득실거리는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을 무전원으로 살균할 수 있는 장치가 있답니다.
기타 분과의 전문 멘토로서 ‘이달의 멘토’로 선정되기도
열전소자를 이용해 개발한 냉온 보온병.
“인터넷에서 우연치 않게 보고 창조경제타운의 멘토링을 알게 됐습니다. 그래서 3년 전부터 멘토로 참여했는데요, 매월 선별위 오프라인 멘토 모임에 나가 활동하는 한편, 매일 시간을 내서 온라인 멘토링을 하고 있습니다.”
한국과학기술정보원(KISTI)에서 한 달에 한 번 창조경제타운의 멘토들이 많게는 50여 명에서 적게는 30여 명 모여서 멘티들의 아이디어를 평가하는 시간을 갖습니다(이를 선별위 모임이라고 하지요). 멘티들의 아이디어는 분과별로 나눠지는데요, 분과마다 15~20개의 아이디어를 6명의 멘토가 나눠서 평가한답니다. 최 대표는 참여 초기 2, 3개월의 일반 멘토를 거친 뒤 전문 멘토로서 기타 분과를 담당해 왔다고 합니다.
“기타 분과의 아이디어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산업 등 어디에도 속하지 않거나 이들 분야가 융합된 것이 많습니다. 그러다 보니 다른 분과의 전문가들에게 문의해서 멘토링을 해주기도 합니다.”
최 대표는 창조경제타운에서의 활발한 멘토링 덕분에 지난해 ‘이달의 멘토’로 선정되기도 했습니다. 그는 대여섯 명의 멘티를 동시에 멘토링하는데, 작년에는 하루에 2시간씩 시간을 내서 5건 정도씩 멘토링을 했다고 합니다. 올해는 회사 일이 바빠서 하루에 30분~1시간 정도 멘토링을 하고 있답니다.
“넓은 시야로 작품 아닌 제품 만들어야”
그는 대학 때 자신만의 아이디어로 창업한 이래 20년간 지속적으로 새로운 아이디어로 혁신적인 제품을 개발해 왔습니다. 대학 때 기계 분야를 전공하고 경제학을 부전공했으며 벤처경영으로 석사를 취득하기도 했는데요, 요즘 창조경제타운과 서울창조경제혁신센터의 멘토로 활동하며 여러 곳에서 강의를 많이 하고 있답니다.
“요즘 공자의 지호락(知好樂)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알기만 하는 사람은 좋아하는 사람만 못하고 좋아하는 사람은 즐기는 사람만 못하다는 말을 줄인 것이죠. 즐기면 성공은 따라온다고 생각합니다. 멘티는 자신의 비즈니스를 가장 즐길 수 있는 것으로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멘티가 멘토링을 받을 때 주의해야 할 사항도 잊지 않고 전해주었습니다.
“멘토링을 받고 싶은 분야에 구체적으로 초점을 맞추어야 합니다. 어디로 가야 할지 방향은 알아야 그 부분에 대해 전문지식으로 도움을 줄 수 있기 때문이죠. 멘티가 멘토를 선택할 때 정확한 정보를 갖고 있다면 좋을 듯합니다.”
최 대표의 휴대전화에는 그동안 멘토링을 한 멘티 400명 정도의 전화번호가 저장돼 있다고 합니다.
“멘토 중에 성공한 케이스요. 닷(DOT)이 대표적이고요. 하지만 아직까지 포기하지 않고 노력하고 있다면, 포기할 때까지 실패한 것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일부 멘티에게는 안타까움이 든다고 했습니다.
“요즘 만나는 멘티들 중에서 30~40%는 정부지원금을 따내기 위해 멘토링을 요구합니다. 지원금으로 비즈니스와 관계없이 회사를 유지하려는 것은 안타깝고, 사회적으로도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끝으로 멘티에게 전해주고 싶은 말에는 그의 애정이 뚝뚝 묻어났습니다.
“멘티는 자기 고집을 버려야 합니다. 작품은 예술이지만, 제품은 여러 사람이 쓰는 것입니다. 제품과 서비스는 상용화하는 것이니 여러 사람이 사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나 아닌 모든 대중이 쓸 수 있으면 성공이라고 생각합니다.”
멘티에게 넓은 시야를 갖고 작품이 아니라 제품을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하는 최진 대표. 그는 루트아이템이란 회사를 통해 제품 개발, 생산, 물류, 특허까지 아우를 수 있는 통합플랫폼을 만들고 싶다는 자신의 꿈도 이야기했습니다.